니카라과 야구 국가대표팀

 


[image]
'''니카라과 야구 국가대표팀 '''
'''Nicaragua national baseball team'''
'''IOC 코드'''
NCA
'''운영주체'''
니카라과 야구 연맹(KNBSB)
'''연맹'''
팬아메리칸 야구 연맹(COPABE)
'''홈구장'''
-
'''감독'''
[image] 마빈 버나드
'''주장'''
-
'''WBC'''
'''[출전]''' 0회
'''프리미어 12'''
'''[출전]''' 0회
'''올림픽'''
'''[출전]''' 1회
'''[최고]''' 4위 (1996)
'''팬 아메리카 게임'''
'''[출전]''' 12회
'''[최고]''' (1983, 1995)
'''팀이모지'''

'''WBSC 랭킹'''
'''15위 - / 1509점'''
(2020년 7월 1일 기준 / #)
1. 개요
2. 역대 성적
2.3. 올림픽[1]
2.4. 팬아메리칸 게임
2.5. 과거의 대회
2.5.1. 세계야구선수권대회(야구 월드컵)
2.5.2. 대륙간컵


1. 개요


니카라과야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.
중남미 국가 중 야구인기가 가장 많은 국가이다. 실제로 프로야구 리그도 운영하고 있으며 야구 월드컵이나 대륙칸 컵 대회와 같은 국제대회에 자주 참가했다.

2. 역대 성적



2.1.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


'''역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전적 순위 : -위'''
'''연도'''
'''결과'''
'''순위'''
'''경기'''
''''''
''''''
'''득점'''
'''실점'''
2006
불참
2009
2013
예선 탈락
2017
예선 탈락
2021
???
?위





'''합계'''
출전 0회 / '''우승 0회'''
0
0
0
0
0

2.2. WBSC 프리미어 12


'''역대 WBSC 프리미어 12 전적 순위 : -위'''
'''연도'''
'''결과'''
'''순위'''
'''경기'''
''''''
''''''
'''득점'''
'''실점'''
2015
대회 조건 미달로 미참가
2019
2023
???
???





'''합계'''
출전 0회 / '''우승 0회'''
0
0
0
0
66

2.3. 올림픽[2]


'''연도'''
'''결과'''
'''순위'''
'''경기'''
''''''
''''''
'''득점'''
'''실점'''
1984[시범종목]
불참
1988[시범종목]

1992
불참
1996
4강
4위
9
4
5
48
41
2000
불참
2004
예선 탈락으로 인한 불참[3]
2008
예선 탈락으로 인한 불참[4]
2020
???
???





'''합계'''
출전 1회 / '''우승 0회'''
9
4
5
48
41


2.4. 팬아메리칸 게임


  • 1951년 부에노스아이레스 팬아메리칸 게임 : 4위
  • 1955년 멕시코시티 팬아메리칸 게임
  • 1959년 시카고 팬아메리칸 게임 : 7위
  • 1963년 상파울루 팬아메리칸 게임
  • 1967년 위니펙 팬아메리칸 게임
  • 1971년 칼리 팬아메리칸 게임 : 8위
  • 1975년 멕시코시티 팬아메리칸 게임
  • 1979년 산후안 팬아메리칸 게임
  • 1983년 카라카스 팬아메리칸 게임 : 은메달
  • 1987년 인디애나폴리스 팬아메리칸 게임 : 5위
  • 1991년 아바나 팬아메리칸 게임 : 5위
  • 1995년 마르델플라타 팬아메리칸 게임 : 은메달
  • 1999년 위니펙 팬아메리칸 게임 : 5위
  • 2003년 산토도밍고 팬아메리칸 게임 : 4위
  • 2007년 리우데자네이루 팬아메리칸 게임 : 공동 동메달
  • 2011년 과달라하라 팬아메리칸 게임
  • 2017년 토론토 팬아메리칸 게임 : 6위
  • 2019년 리마 팬아메리칸 게임 : 동메달

2.5. 과거의 대회



2.5.1. 세계야구선수권대회(야구 월드컵)


  • 1938년 1회 대회(영국)
  • 1939년 2회 대회(쿠바) : 준우승
  • 1940년 3회 대회(쿠바) : 공동 준우승
  • 1941년 4회 대회(쿠바) : 7위
  • 1942년 5회 대회(쿠바)
  • 1943년 6회 대회(쿠바)
  • 1944년 7회 대회(베네수엘라) : 7위
  • 1945년 8회 대회(베네수엘라) : 4위
  • 1947년 9회 대회(콜롬비아) : 3위
  • 1948년 10회 대회(니카라과) : 7위
  • 1950년 11회 대회(니카라과) : 5위
  • 1951년 12회 대회(멕시코) : 5위
  • 1952년 13회 대회(쿠바) : 5위
  • 1953년 14회 대회(베네수엘라) : 3위
  • 1961년 15회 대회(코스타리카) : 공동 7위
  • 1965년 16회 대회(콜롬비아) : 6위
  • 1969년 17회 대회(도미니카 공화국) : 5위
  • 1970년 18회 대회(콜롬비아) : 8위
  • 1971년 19회 대회(쿠바) : 3위
  • 1972년 20회 대회(니카라과) : 3위
  • 1973년 21회 대회(쿠바)
  • 1973년[5] 22회 대회(니카라과) : 준우승
  • 1974년 23회 대회(미국) : 준우승
  • 1976년 24회 대회(콜롬비아) : 4위
  • 1978년 25회 대회(이탈리아) : 5위
  • 1980년 26회 대회(일본)
  • 1982년 27회 대회(한국)
  • 1984년 28회 대회(쿠바) : 7위
  • 1986년 29회 대회(네덜란드)
  • 1988년 30회 대회(이탈리아) : 7위
  • 1990년 31회 대회(캐나다) : 준우승
  • 1994년 32회 대회(니카라과) : 4위
  • 1998년 33회 대회(이탈리아) : 3위
  • 2001년 34회 대회(대만) : 9위
  • 2003년 35회 대회(쿠바) : 6위
  • 2005년 36회 대회(네덜란드) : 6위
  • 2007년 37회 대회(대만)
  • 2009년 38회 대회(유럽[6]) : 13위
  • 2011년 39회 대회(파나마) : 14위

2.5.2. 대륙간컵


  • 1973년 1회 대회(이탈리아) : 4위
  • 1975년 2회 대회(캐나다) : 3위
  • 1977년 3회 대회(니카라과) : 4위
  • 1979년 4회 대회(쿠바) : 4위
  • 1981년 5회 대회(캐나다)
  • 1983년 6회 대회(벨기에) : 6위
  • 1985년 7회 대회(캐나다) : 7위
  • 1987년 8회 대회(쿠바) : 7위
  • 1989년 9회 대회(푸에르토리코) : 3위
  • 1991년 10회 대회(스페인) : 3위
  • 1993년 11회 대회(이탈리아) : 4위
  • 1995년 12회 대회(쿠바) : 3위
  • 1997년 13회 대회(스페인) : 5위
  • 1999년 14회 대회(호주)
  • 2002년 15회 대회(쿠바)
  • 2006년 16회 대회(대만)
  • 2010년 17회 대회(대만) : 7위
[1] 야구가 2012 런던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종목에서 제외되었으나 2020 도쿄 올림픽에서 한시적으로 부활했다.[2] 야구가 2012 런던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종목에서 제외되었으나 2020 도쿄 올림픽에서 한시적으로 부활했다.[시범종목] A B [3] 2003 팬아메리칸 게임 9위.[4] 2007 아메리칸 예선 7위.[5] 1973년에는 2회 개최.[6]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한 국가가 아닌 한 대륙이 개최. 개최 국가는 네덜란드, 독일, 산마리노, 스웨덴, 스페인, 이탈리아, 체코, 크로아티아 8개국.